2022년 건강검진 대상자는 출생년도 끝자리가 짝수인 분들로, 해당된다면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올해 안에 검사받아야 합니다.
매년 무료로 이뤄지는 국가건강검진은 일반병원에서 유료로 하는 종합건강검진에 비해 세부적인 검사가 진행되지는 않지만, 기본 검사를 통해 질병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바쁜 일상생활로 검사받으러 갈 시간을 내는게 쉽지는 않겠지만, 건강을 위해서라도 대상자 여부 확인하여 놓치지 말고 꼭 받으시기 바랍니다.
국가건강검진
검진대상
건강보험 가입자가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고 더욱 증진할 수 있도록 국가건강검진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이상이 없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진 대상자는 지역가입자, 직장가입자, 20세 이상 세대원 및 피부양자, 20세~64세 의료급여 수급권자 등이며 기본적으로 출생년도 끝자리 홀짝에 따라 2년에 1번씩 검진을 받게 됩니다.
단, 예외적으로 직장가입자 중 비사무직의 경우 1년에 1회 검진을 받도록 되어 있습니다.
구분 | 대상 | 주기 |
지역가입자 | 세대주 및 20세 이상 세대원 | 1회/2년 |
직장가입자 | 사무직 근로자 비사무직 근로자 | 1회/2년 1회/1년 |
직장피부양자 | 20세 이상 피부양자 | 1회/2년 |
의료급여 수급권자 | 20~64세 의료급여 수급권자 | 1회/2년 |
검사항목
일반건강검진은 시력, 청력, 공복혈당, 흉부방사선촬영, 구강검진 등 공통 검사항목과 성·연령별 검사 항목으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습니다.
성·연령별 검사는 이상지질혈증, B형간염, 치면세균, 골다공증, 정신건강, 생활습관평가, 노인신체기능, 인지기능장애가 있으며 대상자에게 별도 안내됩니다.
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폐암 이렇게 6대 암검진도 있는데, 마찬가지로 성별과 연령에 따라 검진받게 됩니다.
검사유형 | 검사항목 |
공통 검사 | 진찰 및 상담, 시력, 청력 등 기본검사, AST, ALT, 요단백, 흉부방사선촬영, 구강검진 |
성·연령별 검사 | 생활습관평가, B형간염, 골다공증, 인지기능장애, 치면세균막, 이상지질혈증, 정신건강, 노인신체기능 |
암검진 | 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폐암 |
2022년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국가건강검진의 기간은 매년 1월 1일~12월 31일까지이며, 글 앞에서 말했듯이 2022년 건강검진 대상자는 출생년도 끝자리가 짝수인 분들 입니다.
다만, 바쁜 일상생활을 보내다보면 매년 본인이 대상자에 해당하는지 헷갈리는 경우도 있는데,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서비스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확인가능합니다.
더불어, 해당 년도에 검진을 받았는지, 아직 검사 전이라면 어떤 항목이 해당되는지도 알 수 있고 가까운 검진기관도 찾을 수 있습니다.
- 국민건강보험>로그인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접속 후 로그인을 선택합니다. - 건강검진 대상조회
메인화면 방문자별 맞춤 메뉴에서 ‘건강검진 대상조회’를 선택합니다. - 대상조회 결과확인
건강검진 연도 및 검진여부, 6대 암검진 대상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검진기관찾기
조회결과 화면 하단에서 ‘검진기관찾기’를 클릭하면 시·도 등 지역과 검진항목 등을 선택하여 원하는 기관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현재 건강하다는 생각이 들어도 본인이 모르는 질환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니, 건강검진 대상자에 해당된다면 놓치지 말고 꼭 받아서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